맨위로가기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폴란드 출신의 인류학자로, 참여 관찰을 강조하며 기능주의 인류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했으며, 특히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의 연구를 통해 쿨라 교환과 같은 사회 현상을 분석했다. 말리노프스키는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타이' 등 다수의 저서를 통해 인류학적 연구의 방법론과 이론을 제시했으며, 런던 정경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그의 저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일기'는 현지 조사에서의 연구자와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인류학자 - 브로니스와프 피우수트스키
    폴란드 출신 민족학자이자 정치 운동가인 브로니스와프 피우수트스키는 러시아 제국 알렉산드르 3세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사할린으로 유배 후 아이누족, 니브흐족 등 소수 민족의 문화와 언어 연구에 헌신하며 아이누어 사전 편찬과 민속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기본 정보
학력
출신 학교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박사, 1908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이학박사, 1916년)
박사 논문 제목사고 경제학 원칙에 관하여
박사 논문 연도1908년
경력
연구 분야인류학
철학
경제학
직장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예일 대학교
제자
업적
주요 업적사회 인류학의 아버지
현지 조사 대중화
참여 관찰
민족지
심리적 기능주의
가족
배우자엘시 로잘린 매슨(1919년 결혼, 1935년 사별)
발레타 스완(1940년 결혼)
자녀3명
아버지루치안 말리노프스키
어머니정보 없음
기타
영향 받은 사람정보 없음
영향을 준 사람정보 없음

2. 생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령이었던 크라쿠프 공국의 수도 크라쿠프(현재 폴란드)에서 태어났다.[82] 아버지는 귀족으로 슬라브어 교수였으나, 브로니스와프가 어릴 때 사망하여 어머니와 단둘이 살았다. 야기엘로 대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하여 1908년에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2년간 수학하며 빌헬름 분트의 민족심리학에 영향을 받았다. 관심 분야를 인류학으로 옮긴 마리노프스키는 제임스 프레이저 등의 연구를 알게 되고, 당시 인류학에서 가장 유명했던 영국(グレートブリテン及びアイルランド連合王国)으로의 여행을 결심했다. 1910년에 런던 정경대학교(LSE)에서 인류학을 연구했다.

400px

1913년, 애보리진에 관한 문헌 연구를 『오스트레일리아 애보리진의 가족』으로 발표했다. 이듬해 1914년에는 작곡가 카롤 시마노프스키와 함께 어린 시절부터 절친한 친구였던 폴란드 작가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키에비치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를 여행했지만, 같은 해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영국은 독일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다. 오스트리아 국적이었던 마리노프스키는 영국 영토 내에서 적국인으로 간주되어 출국이 불가능해졌다(반면 러시아 제국 국적이었던 비트키에비치는 곧 출국을 결심하고 러시아 군에 입대했다). 하지만 파푸아뉴기니로 가는 것은 가능했기에, 마리노프스키는 먼저 마이루 섬, 다음으로 뉴기니 섬 동쪽 해상에 있는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 현지 조사를 시작했다. 이렇게 마리노프스키는 장기간에 걸쳐 현지 주민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삶을 상세히 관찰하게 되었고, 인류학 연구에 처음으로 참여 관찰이라는 연구 방법이 도입되었다.[83]

1919년멜버른으로 돌아와 화학자의 딸인 엘시 로잘린 메이슨과 결혼했다. 1924년부터 런던 정경대학교에서 인류학 강의를 맡았고, 1927년에는 주임 교수가 되었다. 당시 런던의 자택에는 매일같이 학생과 지인들이 방문했고, 아내는 수면을 취하기 위해 다른 집으로 나간 적도 있다고 한다.[84]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마리노프스키는 미국에 정착하여 예일 대학교의 객원 교수가 되었다.

1934년, 마리노프스키는 알프레드 라드클리프-브라운 등 젊은 인류학자들과 아프리카 종합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아프리카 남부와 동부로 현지 조사를 겸한 조사 여행을 떠났다. 그런데 케냐의 초대 대통령이자 인류학자로도 유명한 조모 케냐타1935년부터 런던 정경대학교에서 마리노프스키의 지도 아래 인류학을 연구했고, 그의 저서 『케냐 산을 바라보며』(1938년)의 서문은 마리노프스키가 썼다. 또한 1941년부터 42년까지 멕시코 오악사카주의 조사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1942년 예일 대학교가 있는 코네티컷주 남부 도시 뉴헤이븐에서 사망했다.

사후, 부인에 의해 편집 출판된 『마리노프스키 일기』[85]에 의해 현지 조사에서의 라포르 관계의 신화(피조사자와 조사자 간의 신뢰 관계에 의한 성과)가 허구임이 밝혀졌다.

젊은 시절 그는 폴란드 예술가인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케비치와 절친한 친구였으며, 이 우정은 말리노프스키의 초기 삶에 큰 영향을 미쳤다.[32][73][74][75] 그들은 조피아 로메르(결혼 전 성: 뎀보프스카)와 세 사람의 연애 관계를 맺었다.[76] 평생 동안 그는 바람둥이라는 평판을 얻었다.[32]

학창 시절 그의 다른 친구들로는 옥스퍼드 대학교 최초의 여성 인류학 강사였던 마리아 차플리츠카가 있다.[77]

1919년 말리노프스키는 호주 사진작가이자 작가, 여행가였던 엘시 로잘린 마손(데이비드 오름 마손의 딸)과 결혼하여 요제파(1920년생), 완다(1922년생), 헬레나(1925년생) 세 딸을 두었다. 엘시는 1935년에 사망했고, 1940년 말리노프스키는 영국 화가 발레타 스완과 재혼했다.[10][16][78][79] 말리노프스키의 딸 헬레나 말리노프스카 웨인은 아버지의 삶에 대한 여러 기사와 부모님에 대한 책을 썼다.

말리노프스키는 가톨릭 신앙으로 자랐지만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자신을 불가지론자라고 묘사했다.[80]

2. 1. 초기 생애 (1884-1910)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1884년 4월 7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Kingdom of Galicia and Lodomeria)에 속해 있던, 과거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오스트리아 분할 지역(Austrian Partition) 크라쿠프(현재 폴란드)에서 폴란드 귀족(szlachta) 출신으로 태어났다.[9][10][82] 그의 아버지 루치안 말리노프스키(Lucjan Malinowski)는 야기엘로니안 대학교의 슬라브어 언어학(philology) 교수였고, 어머니는 지주 가문의 딸이었다.[11] 그는 어릴 적 허약하고 건강이 좋지 않았지만 학업 성적은 뛰어났다. 아버지는 브로니스와프가 어릴때 사망하여 어머니와 단둘이 살았다. 1902년 5월 30일, 그는 얀 3세 소비에스키 고등학교(Jan III Sobieski Secondary School)에서 수석으로 졸업 시험(matura)을 통과했고,[10][16] 같은 해 크라쿠프 야기엘로니안 대학교 철학부에 입학하여 처음에는 수학과 물리 과학을 전공했다.

400px

대학 재학 중 그는 심각한 질병(아마도 결핵)을 앓았고, 회복하는 동안 철학과 교육학 수업을 수강하면서 사회과학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10] 1908년 그는 야기엘로니안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그의 논문(thesis) 제목은 “사고의 경제성 원리에 관하여(On the Principle of the Economy of Thought)”였다.[10][16]

학생 시절 그는 해외 여행에 관심을 갖게 되어 핀란드, 이탈리아, 카나리아 제도, 서아시아, 북아프리카를 방문했는데, 이러한 여행 중 일부는 건강 문제 때문에 이루어졌다.[10] 그는 또한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1909년경부터 1910년까지 3학기 동안 경제학자 카를 뷔허와 심리학자 빌헬름 분트의 지도를 받았다. 빌헬름 분트의 민족심리학은 그에게 영향을 주었다.[10][16]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황금 가지』를 읽은 후 그는 인류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34][16]

1910년 그는 런던으로 가서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대학원생(postgraduate student)이 되었는데, 그의 지도교수에는 C. G. 셀리그먼(C. G. Seligman)과 에드바르드 베스터마르크가 포함되었다.[10][12][32]

2. 2.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와 초기 연구 (1910-1914)

1910년,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인류학 연구를 시작했다.[82] 1911년 폴란드어로 첫 학술 논문 "''Totemizm i egzogamia''"("토테미즘과 외혼")을 발표했고,[8] 다음 해에는 영어로 된 첫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8] 1913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의 가족을 출판했으며, 같은 해 LSE에서 종교심리학사회심리학 관련 주제로 첫 강의를 했다.[10]

말리노프스키의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타이''(1922)에 실린 사진 ''Plate I'', 마을과 말리노프스키의 텐트를 보여줍니다.


1914년, 말리노프스키는 영국과학진흥협회(BAAS) 후원으로 파푸아(훗날 파푸아뉴기니) 원정을 떠났다.[10]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민이었던 그는 억류될 위기에 처했으나, 여러 동료들의 도움으로 호주 당국의 허가를 받아 현지 조사를 계속할 수 있었다.[10][16][14][15] 1914년부터 1915년까지 마일루 섬과 우드러크 섬에서 첫 현지 조사를 진행했고, 이는 1915년 ''마일루 원주민''으로 출판되었다.[10]

400px

이후 멜라네시아의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참여관찰 방식을 발전시켰다.[10][16]

2. 3. 오세아니아 현지 조사와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9)

1914년 6월, 말리노프스키는 영국과학진흥협회(BAAS) 후원으로 파푸아(훗날 파푸아뉴기니가 됨) 원정을 위해 런던을 떠나 호주로 향했다.[10] 당초 반년 정도 예정되었던 호주 체류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복잡해졌다. 영국과 전쟁 중이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민이었던 말리노프스키는 억류될 위험에도 불구, 알프레드 코트 해든 등 동료들의 도움으로 호주 당국의 허가 및 자금 지원을 받아 현지 조사를 계속할 수 있었다.[10][16][14][15]

1914년 8월부터 1915년 3월까지 툴롱 섬(마일루 섬)과 우드러크 섬에서 첫 현지 조사를 수행, 1915년 단행본 ''마일루 원주민''을 출간했다.[10] 이후 멜라네시아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 1915년 5월부터 1916년 5월, 1917년 10월부터 1918년 10월까지 두 차례 대규모 원정을 진행, 쿨라 교환 연구 및 참여관찰 관행을 발전시켰다.[10][16] 이때 수집된 민족지학적 유물들은 대영박물관과 멜버른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0] 원정 사이 휴식 기간 동안 멜버른에서 연구를 기록하고 ''발로마; 트로브리안드 제도의 죽은 자의 영혼'' 등 논문을 발표했으며, 1916년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0][16]

400px

1919년 유럽으로 돌아온 그는 1년 이상 테네리페에 머물렀다. 1913년, 애보리진에 관한 문헌 연구를 『오스트레일리아 애보리진의 가족』으로 발표했다.

2. 4.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 생활과 기능주의 이론 발전 (1920-1939)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유럽으로 돌아와 테네리페에서 1년 이상 머문 후, 1920년 영국으로, 1921년에는 런던으로 돌아왔다.[10][16][32]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강사직을 수락하고 야기엘로니아 대학교의 일자리 제안을 거절하며 강의를 재개했다.[10] 1922년, 그의 저서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타이''가 출판되었는데, 이는 그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11][17][18][19] 이후 20년 동안 그는 LSE를 유럽의 주요 인류학 연구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1924년에는 강사로 승진했고, 1927년에는 사회인류학 창립 교수가 되었다.[10][32]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민이었던 말리노프스키는 억류될 위험이 있었으나, 알프레드 코트 해든을 포함한 동료들의 도움으로 호주 당국의 허가를 받아 파푸아와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 현지 조사를 수행할 수 있었다.[10][16][14][15] 이 과정에서 그는 쿨라 교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참여관찰 관행을 발전시켰다.[16]

1930년 폴란드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통신 회원이 되었고,[10] 1933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20] 1934년 영국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를 여행하며 여러 부족들 사이에서 연구를 수행했다.[10][32]

2. 5. 미국 망명과 사망 (1939-1942)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미국에 체류 중이었다.[10] 그는 나치 독일을 강하게 비판하며 문명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고, 미국 시민들에게 중립을 버릴 것을 촉구했다. 그의 저서는 독일에서 금서로 지정되었다.[32][22] 1941년에는 멕시코 오악사카의 농민들 사이에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10] 그는 예일 대학교의 방문 교수로 재직하며 미국에 머물렀다.[10] 1942년에는 미국 폴란드 예술 과학 연구소를 공동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10]

말리노프스키는 학계 활동 외에도 종교, 인종 관계, 민족주의, 전체주의, 전쟁, 피임, 성교육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을 쓰고 강연한 "재치 있고 흥미로운 전문가"로 평가받았다.[32] 그는 영국 사회위생협의회, 매스-옵저베이션, 국제 아프리카 연구소를 지지했다.[32]

1942년 5월 16일, 말리노프스키는 오악사카 현장 연구 재개를 준비하던 중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58세의 나이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10] 그는 뉴헤이븐의 에버그린 묘지에 안장되었다.[23]

3. 주요 연구 및 이론

클라이드 클럭혼은 말리노프스키의 영향력이 상당하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평가하며, 어떤 사람들에게는 "주요 예언자"였고 "어떤 인류학자도 그처럼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은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1] 1974년 비토르트 아르몬은 그의 많은 작품을 "고전"으로 묘사했다.[10] 마이클 W. 영은 말리노프스키의 주요 공헌으로 혈족, 결혼, 가족; 마법, 신화, 그리고 종교에 대한 개념의 비교 연구를 제시했다. 그의 연구는 경제 인류학, 비교법, 그리고 언어학 이론의 프라그마틱 분야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32]

말리노프스키가 문화를 파악하는 태도는, 기존의 진화론적 인류학과 구별하여 기능주의 인류학이라고 불린다. 그것은 현존하는 문화를, 상호 관계하여 작용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집합체로 파악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문화 형성에 미치는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1922년 그의 저서인 『서태평양의 원정 항해자』에서 말리노프스키는 쿨라라고 불리는 섬과 섬 사이에서 행해지는 재화(팔찌나 목걸이)의 교역을 분석하고, 쿨라가 경제적인 재화의 교환뿐 아니라, 섬과 섬을 잇는 사회 질서의 형성과 지속의 기능도 수행하는 의례적인 제도임을 밝혔다.

말리노프스키는 말년에, 멕시코 오악사카주에서 사포텍족의 시장으로부터 문화적 여러 관계를 연구하려고 구상했지만,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고, J. 데 라 후엔테와의 공저만이 남았다.

3. 1. 참여 관찰과 민족지학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사회 시스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이고 이론적으로 잘 뒷받침된 접근 방식 때문에 인류학에서 가장 숙련된 민족지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34] 그는 연구자가 연구 대상의 일상생활을 그들과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현지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인류학을 "베란다 밖으로" 이끌어낸 최초의 연구자로 언급된다.[33] 말리노프스키는 상세한 참여 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일상생활의 난해한 것들"을 적절하게 기록하려면 인류학자들이 정보 제공자들과 매일 접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4][35][36][37] 그는 인류학자 또는 민족지학자의 목표는 "원주민의 관점, 삶에 대한 그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의 세계에 대한 그의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38]

말리노프스키는 민족지학 분야를 창시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39][40] J. I. (한스) 바커는 말리노프스키가 "역대 가장 중요한 민족지학 연구 중 최소 두 편을 저술했다"고 말한다.[41] 그는 1910년대 중반 오스트레일리아와 오세아니아에서의 초기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 사람들의 언어를 알지 못하고 그들의 일상 관습을 충분히 관찰할 수 없었던 점을 개선하고자 원주민의 삶에 자신을 몰입시키는 선구적인 결정을 내렸다.[47][36]

그는 자신의 초기 출판물부터 현지 조사를 강조하며, 2차 자료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원로 인류학자들을 비판했다.[10][34][48] 프레이저는 말리노프스키의 멘토이자 후원자였지만, 말리노프스키는 초기부터 그를 비판하며 "인류학자가 되는 방법"이 아니라 "인류학을 하지 않는 방법"을 배웠다고 주장했다.[34][48] 이언 자비는 말리노프스키의 많은 글이 프레이저의 현지 조사 학파에 대한 "공격"을 나타낸다고 썼지만,[49] 제임스 A. 분은 이러한 갈등이 과장되었다고 제안했다.[34]

말리노프스키는 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기여했으며, 그의 슬라브족 배경이 앵글로색슨족 청교도주의에 덜 신경 쓰게 만들었다고 여겨진다.[32] 문화를 파악하는 그의 태도는 기능주의 인류학이라고 불리며, 현존하는 문화를 상호 관계하여 작용하는 여러 요소들의 집합체로 파악하고, 그 요소들이 문화 형성에 미치는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1922년에 발표된 『서태평양의 원정 항해자』에서 말리노프스키는 쿨라라고 불리는 섬과 섬 사이의 재화 교역을 분석하고, 쿨라가 경제적 재화 교환뿐 아니라 사회 질서 형성과 지속의 기능도 수행하는 의례적인 제도임을 밝혔다. 말년에는 멕시코 오악사카주에서 사포텍족의 시장으로부터 문화적 관계를 연구하려 했지만,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고, J. 데 라 후엔테와의 공저만이 남았다.

3. 2. 기능주의 이론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는 기능주의로 알려진 사회인류학 학파의 창시자이거나 주요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0] 알프레드 라드클리프-브라운의 구조 기능주의와는 달리, 말리노프스키의 심리적 기능주의는 문화가 전체 사회의 필요가 아닌 개인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기능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의 욕구가 충족되면 사회의 욕구도 충족된다고 추론했다.[32][21][50][51] 말리노프스키는 기본적인 욕구를 생물학적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했고, 문화를 기본적인 욕구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의 집단 협력으로 이해했다. 따라서 생물학적 욕구에는 신진대사, 생식, 신체적 편안함, 안전, 운동, 성장, 건강이 포함되며, 이에 상응하는 문화적 반응은 식량 공급, 혈연 관계, 주거, 보호, 활동, 훈련, 위생이다.[21]

1918년 트로브리안드 섬 주민들과 함께 있는 말리노프스키


말리노프스키의 심리적 기능주의 이론의 발전은 현지 조사의 중요성에 대한 그의 초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인류학자는 경험적 관찰을 통해 현재 관찰된 관습의 기능을 조사해야 한다.[32] 말리노프스키에게 있어 사람들의 감정과 동기는 그들의 사회가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했다.[52]

말리노프스키는 교차 문화 심리학에 중요한 공헌으로 여겨지는 것에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의 보편성에 대한 주장에 도전했다.[41] 말리노프스키는 ''야만 사회의 성과 억압''(1927)에서 특정한 심리적 복합체가 보편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교차 문화적 접근 방식을 시작했다.[53]

1920년 그는 쿨라 교환에 대한 그의 첫 번째 과학 논문을 발표했다.[16][54] 쿨라 교환과 관련하여 그는 "관찰된 모든 세부 사항의 통합, 다양하고 관련된 증상들의 사회학적 종합은 민족학자의 과제이다"라고 썼다.[55] 이러한 묘사와 분석, 그리고 행위자의 견해와 분석가의 견해 사이의 구분은 인류학적 방법과 이론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16][56] 특히 마법과 마법사에 초점을 맞춘 트로브리안드 전통 경제에 대한 그의 연구는 경제 인류학에 대한 상당한 공헌으로 여겨진다.[16]

말리노프스키는 쿨라 교환 연구를 통해 경제가 문화에 어떻게 내재되어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원시 경제"에 대한 무시와 같은 "기존의 고정관념"에 도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는 "원시 미신"이라는 용어를 비판하며 마법, 과학, 종교 간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그의 성에 대한 연구는 "원시 성"에 대한 단순한 견해를 훼손했다.[39]

1922년에 발표된 『서태평양의 원정 항해자』에서 말리노프스키는 쿨라라고 불리는 섬과 섬 사이에서 행해지는 재화(팔찌나 목걸이)의 교역을 분석하고, 쿨라가 경제적인 재화의 교환뿐 아니라, 섬과 섬을 잇는 사회 질서의 형성과 지속의 기능도 수행하는 의례적인 제도임을 밝혔다.

말리노프스키는 아프리카 연구에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케냐의 아버지이자 초대 대통령인 조모 케냐타의 학문적 멘토 역할을 했다. 말리노프스키는 케냐타의 키쿠유족에 대한 민족지 연구인 ''케냐 산맥을 마주하여''의 서문을 썼다.[57] 말리노프스키의 많은 제자들이 아프리카에서 일했는데, 이는 그가 국제 아프리카 연구소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39]

말리노프스키가 문화를 파악하는 태도는, 기존의 진화론적 인류학과 구별하여 기능주의 인류학이라고 불린다. 그것은 현존하는 문화를, 상호 관계하여 작용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집합체로 파악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문화 형성에 미치는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말년에는 멕시코 오악사카주에서 사포텍족의 시장으로부터 문화적 여러 관계를 연구하려고 구상했지만,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고, J. 데 라 후엔테와의 공저만이 남았다.

3. 3. 쿨라 교환 연구

말리노프스키가 문화를 파악하는 태도는, 기존의 진화론적 인류학과 구별하여 기능주의 인류학이라고 불린다. 그것은 현존하는 문화를, 상호 관계하여 작용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집합체로 파악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문화 형성에 미치는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1922년에 발표된 그의 저서 『서태평양의 원정 항해자』(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에서 말리노프스키는 쿨라라고 불리는 섬과 섬 사이에서 행해지는 재화(팔찌나 목걸이)의 교역을 분석하고, 쿨라가 경제적인 재화의 교환뿐 아니라, 섬과 섬을 잇는 사회 질서의 형성과 지속의 기능도 수행하는 의례적인 제도임을 밝혔다.

말리노프스키는 말년에, 멕시코 오악사카주에서 사포텍족의 시장으로부터 문화적 여러 관계를 연구하려고 구상했지만,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고, J. 데 라 후엔테와의 공저만이 남았다.

3. 4. 성과 억압 연구

말리노프스키가 문화를 파악하는 태도는, 기존의 진화론적 인류학과 구별하여 기능주의 인류학이라고 불린다. 그것은 현존하는 문화를 상호 관계하여 작용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집합체로 파악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문화 형성에 미치는 기능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가리킨다.

1922년에 발표된 『서태평양의 원정 항해자』에서 말리노프스키는 쿨리라고 불리는 섬과 섬 사이에서 행해지는 재화(팔찌나 목걸이)의 교역을 분석하고, 쿨리가 경제적인 재화의 교환뿐 아니라, 섬과 섬을 잇는 사회 질서의 형성과 지속의 기능도 수행하는 의례적인 제도임을 밝혔다.

말리노프스키는 말년에 멕시코 오악사카주에서 사포텍족의 시장으로부터 문화적 여러 관계를 연구하려고 구상했지만, 그의 사망으로 중단되었고, J. 데 라 후엔테와의 공저만이 남았다.

4. 주요 저작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저작은 대부분 영어로 출판되었다.[10] 1913년 출간된 첫 저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의 가족』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에게 가족 제도가 없다는 기존 이론을 반박하며 호평을 받았다.[10]

1922년 출판된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타이』는 트로브리안드 제도 사람들의 사회와 경제를 다룬 책으로, 말리노프스키의 명성을 크게 높였다.[11][17][18][19] 이후 『야만 사회의 범죄와 관습』(1926), 『원시 심리학에서의 신화』(1926), 『야만 사회에서의 성과 억압』(1927), 『북서 멜라네시아 야만인의 성생활』(1929), 『산호 정원과 그 마법』(1935) 등을 출간했다.[10] 이 저서들은 상호성, 법, 정신분석, 성, 결혼, 가족, 농업과 마법의 관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32]

1917년 10월부터 1918년 10월 사이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와 원주민들


"정신분석과 인류학"(1924) 논문은 "핵가족"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4][25] 이 논문은 『야만 사회에서의 성과 억압』(1927)에 통합되었다.[26]

사후 출판되거나 선집에 수록된 저서로는 『문화의 과학적 이론 및 기타 에세이』(1944), 『자유와 문명』(1944), 『문화 변동의 역동성』(1945), 『마법, 과학, 종교 및 기타 에세이』(1948), 『성, 문화, 그리고 신화』(1962), 『엄격한 의미에서의 일기』(1967),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초기 저작』(1993) 등이 있다.[10]

1967년 출간된 『엄밀한 의미에서의 일기』는 1914년~1915년과 1917년~1918년 뉴기니와 트로브리안드 제도에서의 현장 연구 기간 동안 작성된 것으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2][28]

말리노프스키의 많은 저서들은 2013년에 공개 도메인에 들어갔다.[30]

다음은 말리노프스키의 주요 저작 목록이다.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의 가족』(The Family among the Australian Aborigines, 1913)
  • 『트로브리안드 제도』(1915)
  •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타이(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1922)
  • 『원시 심리학에서의 신화』(Myth in Primitive Society, 1926)
  • 야만 사회의 범죄와 관습(Crime and Custom in Savage Society, 1926)
  • 야만 사회에서의 성과 억압(Sex and Repression in Savage Society, 1927)
  • 북서 멜라네시아 야만인의 성생활(The Sexual Life of Savages in North-Western Melanesia, 1929)
  • 산호 정원과 그 마법(Coral Gardens and Their Magic, 1935)
  • 문화의 과학적 이론(The Scientific Theory of Culture, 1944)
  • 자유와 문명(Freedom & Civilization, 1947)
  • 문화 변동의 역학(The Dynamics of Culture Change, 1945)
  • 마법, 과학, 종교 및 기타 에세이(Magic, Science and Religion and Other Essays, 1948)
  • 성, 문화, 그리고 신화(Sex, Culture, and Myth, 1962)
  • 엄밀한 의미에서의 일기(A Diary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1967)
  •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초기 저술』(The Early Writings of Bronislaw Malinowski, 1993)
  • 『멕시코의 말리노프스키: 멕시코 시장 시스템의 경제학』(Malinowski in Mexico: The Economics of a Mexican Market System, 1984)

5. 영향 및 유산

클라이드 클럭혼은 그가 사망한 지 1년 후,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영향력이 상당하지만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평가하며, 어떤 사람들에게는 "주요 예언자"였고 "어떤 인류학자도 그처럼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은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1] 1974년 비토르트 아르몬은 그의 많은 작품을 "고전"으로 묘사했다.[10] 마이클 W. 영은 말리노프스키의 주요 공헌으로 혈족, 결혼, 가족; 마법, 신화, 그리고 종교에 대한 개념의 비교 연구를 제시했다. 그의 연구는 경제 인류학, 비교법, 그리고 언어학 이론의 프라그마틱 분야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32]

비트카츠(Stanisław Ignacy Witkiewicz)가 1930년에 그린 말리노프스키의 초상화


런던정경대학교(LSE)에서 매년 개최되는 인류학 강연 시리즈인 말리노프스키 기념 강좌는 1959년에 그를 기념하여 시작되었다.[10] LSE의 학생들이 주도하는 인류학 잡지인 ''아르고나우트(The Argonaut)''는 말리노프스키의 저서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트''에서 이름을 따왔다.[66]

응용인류학회(Society for Applied Anthropology)는 1950년에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상을 제정했다. 이 상은 1952년까지 수여되다가 중단되었다가 1973년에 재개되었으며, 그 이후로 매년 수여되고 있다.[67][68]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케비치는 1910년대에 쓰고 1972년에 출판된 소설 ''붕고의 622번의 몰락 또는 악마 같은 여자(The 622 Downfalls of Bungo or The Demonic Woman)''에서 네버모어 공작이라는 등장인물을 말리노프스키를 모델로 하여 만들었다.[10]

1957년 레이먼드 파스는 말리노프스키의 삶과 업적을 기리는 책 ''인간과 문화''을 편집했다.[69] 그 이후로도 말리노프스키에 관한 다른 저서들이 출판되었는데, 그중에는 마이클 W. 영의 ''말리노프스키: 인류학자의 오디세이, 1884–1920(Malinowski: Odyssey of an Anthropologist, 1884–1920)''(2004)가 있다.[70]

그는 젊은 인디애나 존스 연대기 TV 영화 ''공작의 눈의 보물(Treasure of the Peacock's Eye)''에서 톰 커트니가 연기했다.[71]

말리노프스키의 삶과 업적은 2007년 BBC Four 채널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영화 ''정글의 이야기: 말리노프스키(Tales From The Jungle: Malinowski)''의 주제이다.[72]

5. 1. 학문적 영향

클라이드 클럭혼은 그가 사망한 지 1년 후,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의 영향력이 상당하지만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평가하며, 어떤 사람들에게는 "주요 예언자"였고 "어떤 인류학자도 그처럼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은 적이 없다"고 언급했다.[31] 1974년 비토르트 아르몬은 그의 많은 작품을 "고전"으로 묘사했다.[10] 마이클 W. 영은 말리노프스키의 주요 공헌으로 혈족, 결혼, 가족; 마법, 신화, 그리고 종교에 대한 개념의 비교 연구를 제시했다. 그의 연구는 경제 인류학, 비교법, 그리고 언어학 이론의 프라그마틱 분야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32]

런던정경대학교(LSE)에서 매년 개최되는 인류학 강연 시리즈인 말리노프스키 기념 강좌는 1959년에 그를 기념하여 시작되었다.[10] LSE의 학생들이 주도하는 인류학 잡지인 ''아르고나우트(The Argonaut)''는 말리노프스키의 저서 ''서태평양의 아르고나우트''에서 이름을 따왔다.[66]

응용인류학회(Society for Applied Anthropology)는 1950년에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브로니스와프 말리노프스키 상을 제정했다. 이 상은 1952년까지 수여되다가 중단되었다가 1973년에 재개되었으며, 그 이후로 매년 수여되고 있다.[67][68]

스타니스와프 이그나치 비트케비치는 1910년대에 쓰고 1972년에 출판된 소설 ''붕고의 622번의 몰락 또는 악마 같은 여자(The 622 Downfalls of Bungo or The Demonic Woman)''에서 네버모어 공작이라는 등장인물을 말리노프스키를 모델로 하여 만들었다.[10]

1957년 레이먼드 파스(Raymond Firth)는 말리노프스키의 삶과 업적을 기리는 책 ''인간과 문화''을 편집했다.[69] 그 이후로도 말리노프스키에 관한 다른 저서들이 출판되었는데, 그중에는 마이클 W. 영의 ''말리노프스키: 인류학자의 오디세이, 1884–1920(Malinowski: Odyssey of an Anthropologist, 1884–1920)''(2004)가 있다.[70]

그는 젊은 인디애나 존스 연대기 TV 영화 ''공작의 눈의 보물(Treasure of the Peacock's Eye)''에서 톰 커트니가 연기했다.[71]

말리노프스키의 삶과 업적은 2007년 BBC Four 채널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영화 ''정글의 이야기: 말리노프스키(Tales From The Jungle: Malinowski)''의 주제이다.[72]

5. 2. 제자 양성

말리노프스키는 영국의 다음 세대 인류학자들을 길러낸 것으로 여겨진다.[10] 그의 많은 제자들이 그의 기능주의적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32] 교사로서 그는 토론보다 강의를 선호했고,[10] 그의 세미나는 "전기적"이었다고 불린다.[32] 그는 여성 학생들에 대한 친절하고 평등주의적인 태도로 칭찬을 받았다.[80]

그의 제자들 중에는 힐다 쿠퍼,[80][58] 에디스 클라크,[80] 카지미에시 도브로볼스키,[10] 레이먼드 퍼스,[80] 마이어 포르테스,[59] 펠릭스 그로스,[10] 프랜시스 L. K. 흐수,[60] 필리스 캐버리,[61] 조모 케냐타,[62] 에드먼드 리치,[63] 루시 메어,[80] Z. K. 매튜스,[64] 요제프 오브렦스키,[10] 마리아 오소프스카,[10] 스타니스와프 오소프스키,[10] 랄프 피딩턴,[65] 오르탕스 파우더메이커,[80] E. E. 에번스-프리차드,[80] 마가렛 리드,[80] 오드리 리차즈,[80] 아이작 샤페라,[80] 안제이얀 발리고르스키,[10] 카밀라 웨지우드,[80] 모니카 윌슨,[80] 그리고 페이 샤오퉁[10] 등 미래의 사회과학자들이 있었다.

5. 3. 비판과 논쟁

6. 한국 사회와의 관련성

참조

[1] 서적 Anthropological Journeys: Reflections on Fieldwork https://books.google[...] Orient Blackswan 1998
[2] 학술지 Tradycje socjologii polskiej https://repozytorium[...] 1988
[3] 서적 Theory in Social and Cultural Anthropolog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3-08-28
[4] 서적 A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tists and Inventors in American Film and TV since 1930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9-15
[5]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M-Mexico City https://books.google[...] Grolier Incorporated 2001
[6] 웹사이트 Bronislaw Malinowski https://www.oxfordre[...] 2021-09-10
[7] 서적 Religion in Southeast Asia: An Encyclopedia of Faiths and Cultures: An Encyclopedia of Faith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5-03-10
[8] 학술지 Bronislaw Malinowski 1943-07-09
[9] 서적 Revival: The New Generation (1930): The Intimate Problems of Modern Parents and Childre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4-20
[10] 백과사전 Bronisław Malinowski https://www.ipsb.nin[...] National Film Archive - Audiovisual Institute 1974
[11] 서적 Bronislaw Kasper Malinowski http://pubman.mpdl.m[...] John Benjamins 1997
[12] 서적 New History of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2-09
[13] 서적 The Early Writings of Bronislaw Malinowski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6-01
[14] 서적 Malinowski Among the Magi: The Natives of Mailu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1-11
[15] 서적 Visions of Culture: An Introduction to Anthropological Theories and Theorists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08-07-25
[16]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Anthropologis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17] 학술지 Malinowski on Primitive Art: 'Art Notes and Suggestions' of 1921 https://www.jstor.or[...] 2016
[18] 서적 The Trobriand Islanders' Ways of Speaking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0-07-19
[19] 서적 Anthropological Controversies: The "Crimes" and Misdemeanors that Shaped a Disciplin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11
[20] 웹사이트 B.K. Malinowski (1884–1942)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5-07-19
[21] 백과사전 Malinowski, Bronislaw K.(1884–1942) John Wiley & Sons, Ltd 2007-02-15
[22] 학술지 Malinowski on Freedom & Civilization http://journals.sage[...] 1985-03
[23] 서적 The Story of a Marriage: The Letters of Bronisław Malinowski and Elsie Masson Routledge
[24] 웹사이트 nuclear family https://www.oed.com/[...] 2024-10-02
[25] 학술지 Malinowski and Philosophy https://www.berose.f[...] 2021
[26] 웹사이트 The Nuclear Family https://www.paraprax[...] 2024-10-03
[27] 서적 A Diary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 Bronislaw Malinowski With a New Introduction by Raymond Firth http://www.sup.org/b[...] Stanford University Press
[28] 학술지 Anthropology's conrad: Malinowski in the tropics and what he read 1995-06-01
[29] 서적 The Predicament of Culture: Twentieth-Century Ethnography, Literature, and Ar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05-18
[30] 웹사이트 Writing his Life through the Other: The Anthropology of Malinowski https://publicdomain[...] 2014
[31] 학술지 Bronislaw Malinowski 1884-1942 https://www.jstor.or[...] 1943
[32] 백과사전 Malinowski, Bronislaw (1884–1942) American Cancer Society 2015
[33] 서적 Off the Verandah: Bronislaw Malinowski (1884-1942). https://books.googl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019
[34] 서적 Other Tribes, Other Scribes: Symbolic Anthropology in the Comparative Study of Cultures, Histories, Religions and Texts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2
[35] 학술지 Naturalized Methods for Jurisprudence: A Constructive Account https://papers.ssrn.[...] 2010-01-25
[36] 서적 Doing Design Ethnograph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03-05
[37] 서적 Anthropological Practice: Fieldwork and the Ethnographic Metho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15
[38] 서적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Dutton 1961
[39]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Anthropology https://onlinelibrar[...] Wiley 2018-10-05
[40] 서적 Ethnographic Practice in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0
[41] 서적 The Encyclopedia of Cross-Cultural Psychology https://onlinelibrar[...] Wiley 2013-09-24
[42] 서적 Anthropology and Archaeology: A Changing Relationship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04
[43] 서적 Order and Rebellion in Tribal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44] 서적 Field Research: A Sourcebook and Field Manua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45] 서적 Routes: Travel and Translation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7-04-21
[46] 서적 The Building of British Social Anthropology: W.H.R. Rivers and his Cambridge Disciples in The Development of Kinship Studies, 1898–1931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47] 서적 Critical Readings in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 Volume 4 https://books.google[...] BRILL 2021-06-22
[48] 학술지 Review of The Early Writings of Bronislaw Malinowski https://www.jstor.or[...] 1995
[49] 서적 The Revolution in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0-28
[50] 서적 Cultural Anthropology: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9-12-10
[51] 서적 Folklore: An Encyclopedia of Beliefs, Customs, Tales, Music, and Art https://books.google[...] ABC-CLIO 1997
[52] 학술지 6. Diamond Jenness's Arctic Ethnography and the Potential for a Canadian Anthropology https://muse.jhu.edu[...] 2006
[53] 서적 Studies in Human Sexuality: A Selected Guide https://books.google[...] Libraries Unlimited 1995
[54] 학술지 Kula: the Circulating Exchange of Valuables in the Archipelagoes of Eastern New Guinea https://zenodo.org/r[...] 1920
[55] 서적 Argonauts of the Western Pacific Dutton 1961
[56] 서적 Tre saggi sull'antropologia dell'età coloniale https://books.google[...] S. F. Flaccovio 1974
[57] 학술지 Ethnography as Politics, Politics as Ethnography: Kenyatta, Malinowski, and the Making of Facing Mount Kenya https://doi.org/10.1[...] 1996-01-01
[58] 학술지 Functionalism revisited: An unsettled science https://doi.org/10.1[...] 1986-09-01
[59] 서적 Religion, Morality and the Person: Essays on Tallensi Religio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7-10-15
[60] 서적 Anthropological Studies of Korea by Westerners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Modern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2000
[61] ODNB Kaberry, Phyllis Mary
[62] 웹사이트 Jomo Kenyatta, LSE and the independence of Kenya http://blogs.lse.ac.[...] 2022-11-30
[63] 서적 Edmund Leach: An Anthropological Lif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2-14
[64] 학술지 Formative years : early influences on the career of Z.K. Matthews, (1916-1937) https://journals.co.[...] 1992-11-01
[65] 서적 Developments in Polynesian Ethn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9-03-31
[66] 웹사이트 The Magazine https://the-argonaut[...] 2021-09-09
[67] 서적 The Dynamics of Applied Anthrop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Malinowski Award Papers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Applied Anthropology. 2002
[68] 웹사이트 Bronislaw Malinowski Award:: Society for Applied Anthropology https://www.applieda[...] 2021-09-09
[69] 학술지 Man and Culture: An Evaluation of the Work of Malinowski . Raymond Firth. https://doi.org/10.1[...] 1959-12
[70] 학술지 Michael W. Young. Malinowski: Odyssey of an Anthropologist 1884–1920.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004. https://www.cambridg[...] 2005-07
[71] 웹사이트 Young Indiana Jones/Treasure of the Peacock's Eye https://www.tvguide.[...] 2023-03-08
[72] 웹사이트 Tales from the Jungle https://www.bbc.co.u[...] 2021-11-30
[73] 논문 Witkiewicz and Malinowski: The Pure Form of Magic, Science and Religion https://www.jstor.or[...] 1973
[74] 논문 Bronisław Kasper Malinowski and Stanisław Ignacy Witkiewicz. Science versus art in the conceptualization of culture https://www.ceeol.co[...] 2000
[75] 논문 Uczta z Malinowskim i Witkacym. Niedopowiedzenie i namiętność w antropologii http://cejsh.icm.edu[...] 2015
[76] 논문 A FORCIBLE VOICE OF DONNA QUERPIA. ZOFIA DEMBOWSKA'S LETTERS TO BRONISLAW MALINOWSKI (Dobitny glos Donny Querpii. Listy Zofii Dembowskiej do Bronislawa Malinowskiego) https://www.infona.p[...] 2008
[77] 서적 A History of Oxford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9-10
[78] 논문 Helena Paula Wayne Malinowska (1925–2018) https://onlinelibrar[...] 2018
[79] 웹사이트 Helena Malinowska Wayne (17 May 1925 – 31 March 2018) https://mfea.project[...] 2021-09-12
[80] 논문 Bronislaw Malinowski: The Influence of Various Women on His Life and Works 1985
[81] 서적 マリノウスキー書 [[青山道夫]]訳 未開社会における犯罪と習慣 付 文化論 新泉社
[8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7-15
[83] 에세이 八月の二人のポーランド人 http://www17.ocn.ne.[...]
[84] 서적 西太平洋の遠洋航海者 中央公論社
[85] 서적 A Diary in the Strict Sense of the Term Harcourt, Brace & World,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